오송 기능지구 향후 전망은

16일 오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가 대전 대덕특구로 최종 선정되자 그동안 마음을 졸여왔던 충북도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비록 당초 요구했던 세종시가 벨트핵으로 확정되진 않았지만 충청권에 거점지구가 들어온다는 점에서 충청권 공조가 소기의 성과를 얻었다는 가시적 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이시종 충북지사를 비롯한 과학벨트사수 충북공동대책위원회가 안도의 한 숨을 내쉰 것은 다른데 이유가 있다. 바로 기능지구로 선정된 오송이다.

충청권 3개 시·도가 공조를 외쳐왔지만 아무 실익이 없는 연대는 결과적으로 '들러리'로 전락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북 입장에서 16일 거점지구 선정보다 중요한 것은 기능지구에 과연 오송이 포함됐느냐의 여부였다. 결과적으로 오송이 기능지구에 포함됐고 이에 따라 향후 과학벨트기본계획에 구체적인 역할과 사업을 끌어와야하는 과제가 남게됐다.

◆ 기능지구란= 과학벨트입지평가위원회의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대덕특구에 이어 기능지구 선정방식(거점지구 반경 40km이내)을 적용, 청원군, 천안시, 연기군이 기능지구로 선정됐다.

지난 2009년 과학벨트 추진지원단이 발표한 종합계획에 따르면 기초과학을 중심으로 한 거점지구에 교육·연구·산업을 연계해 상호간의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능지구를 뒀다. 연계추진 전략으로 기초과학 관련 연구기관 및 기업에 공급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역할과 산학연 공동 R&D 지원 등을 통해 과학과 비즈니스를 결합하기 위한 기능을 부여했다.

◆ 명확한 실체는 없어= 기능지구에 대한 명확한 실체는 없다. 거점지구에 기초과학연구원 본부, 거대연구시설(중이온가속기 등), 연구단 등을 둔다는 계획이 처음부터 나온것에 비하면 기능지구는 다분히 추상적이다. 과학벨트특별법 제2조에도 '거점지구'란 과학벨트 안의 지역으로서 거점지구와 연계해 응용연구, 개발연구 및 사업화 등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고시된 지역을 말한다고 명시됐을 뿐이다. 같은 법 제29·31·33·34조에 따라 세제혜택 등을 거점지구와 동등하게 적용받게 된다하더라도 밑그림을 처음부터 그려야 하는 숙제가 남겨졌다.

16일 발표한 과학벨트 조성사업 추진계획(안)에도 뚜렷한 계획은 없다. 다만 고무적인 점은 기능지구 지원에 약 3천억원의 예산이 명시됐다는 것이다.

변재일 국회의원(청원)은 "당초 기능지구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안은 없었는데 2017년까지 3천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 확정됐다"며 "3개 군에 동등하게 분배된다고 했을때 청원군에는 1천억원 정도가 배정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외부 연구단 유치가 관건=연구단 50개 중 40개는 분산이 확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본원 연구본부에 15개, 카이스트연합캠퍼스 10개, DUP연합캠퍼스(대구·울산·포항) 10개, GIST캠퍼스(광주) 5개다. 영호남으로 분산될 캠퍼스 개념이 기초연의 분원 성격을 띨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나머지 10개 정도의 외부 연구단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정부는 8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의 대학 출연(연)에 외부 연구단을 설치할 계획이다. 따라서 아직 실체가 없는 기능지구에 외부연구단 유치도 충북도가 신경써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재일 의원은 "외부연구단 구성과정에서 충북도와 청원군 지역이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오창에 생명공학연구원과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원이 있는만큼 올해 12월말까지 확정될 과학벨트 기본계획에 좀더 구체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변 의원은 충북대측에서 외부연구단 1개를 도전하겠다는 의향이 있었다고 전했다. / 최종권 choigo@jbnews.com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