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세평- 김영범 시인/충북작가회의

겨울은 봄을 준비하는 계절이다. 어떤 이는 계절 중 마지막이라 말하기도 하지만 사실은 가을을 보내고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는 계절이 겨울이다. 그래서 겨울은 한해를 준비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먹을거리가 부족한 겨울, 몇몇 동물이 선택한 것은 자는 일이다. 농촌의 경우는 봄부터 가을까지 힘든 농사를 마치고 잠시의 휴식의 기간, 즉 농한기가 겨울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가 일상생활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들이 이 경우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그 중에서도 고정적인 급여가 보장되는 직장 생활을 하지 않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겨울은 힘든 시기이다. 동물처럼 동면에 들지도 못하고, 풍족한 가을걷이를 할 논도 밭도 없다.

현대 사회에서 예술을 팔아 돈을 버는 일은 어렵다. 자본주의 시장에서는 아주 유명해서 기업의 이윤 추구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 아쉽게도 우리 지역의 젊은 예술가 대부분은 대중문화를 선도하는 아이돌 가수나 영화배우들처럼 인기 있지도 기업 이윤에 도움이 되지도 않는 존재들이다.

이들은 늦은 봄부터 초겨울까지 공연을 하고 전시를 하고 출판을 한다. 아니면 문화예술관련 단체에서 또는 공공분야 문화예술관련 단체나 사업에 종사한다. 이들 모두는 겨울이 깊어지기 전 회계를 정산해야 하고 사업을 보고해야 한다. 그리고 이듬해 3월 또는 4월까지 허리띠를 졸라매거나 손가락을 빨거나 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어떤 이는 이런 예술가들을 무능하다고 비판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 비판에는 자본만능주의가 깔려있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한 달에 고작 100~150만 원 가량의 돈을 받아가며 팔리지 않는 작품 활동과 일을 병행하는 것은 돈 보다 가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누군가는 꼭 해야 하는 일이란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겨울 내내 빈둥빈둥 노는 이도 없다. 일을 하면 반드시 대가가 있어야 된다는 사고방식도 이들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예산이 없고 지원도 없는 시기에도 부지런을 떨어야 한다. 농한기 농부들도 다음 봄을 위해 농기구를 정비하고 씨앗을 말려놓듯이 예술가들도 볕 좋은 날 젊음을 내다 건다.

국가나 도, 시의 지원금을 받아야만 사업을 하고 얼마간의 끼니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현실은 안타까움이고 문제점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자체 생존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최근 붐을 타고 있는 사회적 기업도 큰 대안은 되지 않는다. 아무리 양보를 해도 예술과 기업이 합일을 이룬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보다 더 큰 아쉬움은 국가나 지자체 전체 예산 중 문화예술관련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말로는 문화가 재산이라는 둥 문화가 경제력이라는 둥 말을 하지만 정작 돈이 되지 않는 문화예술은 항상 뒷전이었다. 혹자는 국가나 지자체의 예산에 의존한다는 이유로 이러한 예술가들에게 거지근성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을 할지도 모른다. 이런 논리라면 자선냄비나 툭하면 국민에게 성금을 걷는 국가 역시 거지근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과 같다.

젊은 예술가들의 겨울나기는 특정 개인이 아닌 나눔의 일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행복한 상상이다. 그러나 항상 배가 고프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