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이민우·경제부

대형마트의 횡포를 막아야 국민 대다수를 차지하는 지역 중소상인들이 살 텐데…. 목숨이든 장사든 죽기 전에 막아야 살지, 일단 죽은 다음에는 살리지 못한다. 이번 선거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치인이 나오고, 대량 지지를 받아야 할 텐데….

선거를 앞두고 충북지역 경제는 어떠한가. 일부러 '비싸게 값을 붙여 놔야 더 잘 팔리는 백화점'이란 특수 상권, 그리고 싼 물건 값보다는 '한 자리에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는 대형마트, 나머지는 '먹고 살기 위해 장사를 하는' 지역 중소상인들이다. 앞의 두 상권은 가격을 낮추든 높이든 완전히 대기업 마음대로다.

현재 대기업들은 느슨해진 규제를 틈타 외식사업과 소모성 자재구매대행(MRO) 등 지역 중소기업 영역까지 침범, 계열사를 동원해 물량 몰아주기에 나섰고 재벌 가계 2~3대들은 외식사업과 명품 외제차 수입에 경쟁적으로 매달려 왔다.

지방경제에 있어 대기업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은 더욱 치명적이다. 대기업 본사가 모두 서울에 몰려 있는 탓이다. 대기업과 중소·영세기업의 갈등 구조에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란 두 가지 문제에 지방경제는 모두 노출돼 있다. 대기업이 비대해지는 만큼 지방은 영양결핍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지역 주택건설사가 무너진 틈을 타 대기업 계열 건설사들이 순식간에 지역 주택시장을 장악했고, 지역에 기반한 유통업체들은 대기업 계열사들의 자본 및 물량 공세에 밀려 하나둘 경영권이 넘어갔다.

물론 지방은행도 도산하거나 서울에 본사를 둔 금융회사에 합병이 됐다. 주택과 유통은 일반 서민들이 가장 많은 돈을 소비하는 곳이다. 주택과 유통시장이 서울 대기업 위주로 재편되면서 지역에서 소비된 돈은 고스란히 서울로 올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지역자금 역외유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지방은 단순 생산과 소비를 하는 '하청 도시'가 된 셈이다.

지방자치단체장들도 임기 중 '투자유치'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대기업 문턱이 닳도록 밟아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는 지방의 경제분권이 사회적이슈가 되길 기대해 본다. 대기업의 탐욕스런 욕심을 막고 지방경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이 강한 목소리를 내고 반드시 이번 선거로 충북지역경제를 이끌 수 있는 적임자를 선출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