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진단] 이민우 경제부 부장

종합건설업을 하고 있는 지역 건설업체 대표들의 요즘 고민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IMF(국제통화기금) 때 보다 몇 갑절은 더 어려운 지금의 총체적 난국 속에서 수십 년간 몸담고 있던 건설업을 포기해야 할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경영난으로 '부도'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이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판단에서다.

이처럼 지역 건설시장 침체가 겹치면서 업계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는 거의 고사직전이라고 한다.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물가는 가파르게 오르고 수입은 갈수록 쪼그라 들자 많은 국민들은 '제2의 IMF사태'가 오는 것이 아니냐며 걱정을 하고 있다.

건설 비수기인 겨울철이 들어서면서 건설업계의 비명이 커지고 있지만 이렇다 할 대책이 나오지 않아 업체들의 경영난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지역의 중견 건설업체가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지금 같은 분위기론 은행권 추가대출 금지는 물론이고 기존 대출금도 회수에 열을 올릴것이 분명하므로 부도 도미노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충북지역 일반 건설업체는 약 600여 개인데 공공물량 발주 공사가 없어 단 한건의 공사 수주도 못한 업체가 수두룩하다. 1천800여 개의 전문건설업계도 이들로부터 하청을 받기 때문에 덩달아 피해가 불가피하다. 그런 이유로 업계는 10년전 외환위기 이후 잘나가던 건설업체 들이 연쇄부도로 쓰러진 악몽을 되뇌이고 있기도 하다.

외형이 큰 공공부문 공사의 경우 대부분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를 독식하는 것도 지역 건설업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올 들어서는 공공부문 공사도 크게 줄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이상 감소했다고 한다. 특히 관공서, 공공 업무시설 등 공공건축부문은 54%나 줄었다.

건설업계의 위기는 자초한 측면이 크다는 점에서 마냥 국민 세금으로 지원할 수는 없는 일이다.

외환위기 때도 10만여가구에 이르는 미분양 주택에 대해 세금으로 지원해 주었다. 이런 악순환이 되풀이 돼서는 안된다.

분양가를 낮추고 수요가 없는 곳은 공급을 줄이는 등 자구노력이 먼저다. 한계 상황에 달한 업체는 퇴출되는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고사직전의 지역 건설사를 모른체 해서는 안된다. 건설업은 지역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밀착형 산업이다. 연관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과 고용 증대 효과가 크다.

공공부문 공사의 발주량을 늘리고 대형건설사와의 협력체제 강화를 유도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

지역 건설사들도 로비와 연고에 의존해 수주를 따내려는 구태를 버리고 기술력 개발 등의 자구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과거 같으면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제일 먼저 취한 조치가 공공기관 공사 물량 조기발주 였으나,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또한 매년 효자 노릇을 했던 수해복구 공사도 올해는 없었다. 이래저래 악재만 쌓인 격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같은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단순히 시장경제 논리로 기업에만 맡겨놓지 말고 원부자재와 일용직 인부 공급, 임금 순환 등의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을 감안한다면 왜 건설업을 살려야 하는가에 답이 나올 것이다.

지역 경기의 선도 산업인 건설업의 활황은 언제 오는지. '지역 건설업이 지역 경제를 살린다'는 명제를 다시금 떠올릴 때다.

정부 당국은 물론 지역 건설사들이 회생의 빛을 볼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지자체 차원에서도 세워야 지역경제가 살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