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진단] 유승훈 사회부 부장

최근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충북지역도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이 늘어나는 등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등은 지역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수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어 의미가 크다.

사회적 경제는 기존의 경쟁과 이윤 극대화를 중심으로 한 일반적인 경제 패러다임과 달리 사람이 중심이 돼 '함께'(공생, 협동, 대안, 공유)의 가치를 지향한다.

충북은 사회적 기업 40곳, 부처형사회적기업 4곳, 충북형예비사회적기업 56곳 협동조합 76곳이 활동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영역간 협력과 네트워크가 필요한데, 충북은 아직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이 고립적인 활동을 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사회적 협동을 통해 교류하고 사회적 경제라는 부문 경제로서의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동으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오는 17일 (사)충북시민재단, 사회적기업협의회, 사회경제센터, 협동조합, 마을기업, 충북도NGO센터 등이 참여하는 충북도 사회적경제협의회가 출범할 예정이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회적경제협의회는 앞으로 민관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사회적 경제가 지방정부의 중요한 의제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활동할 계획이다. 이는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개한 활동과 지원으로는 사회적 경제 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사회적경제협의회는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을 위한 각종 지원 조례 제정은 물론 기금 마련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충북지역은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 경제 부분 전체를 보면 일자리가 1만 개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나름대로 지역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들 기업들은 안정성과 지속성이 취약해 일반시장과 경쟁할 경우 낙오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영세한 영역에서의 다툼이 아닌 새로운 틈새시장이나 공공영역에서의 수요 창출이 관건이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경제적 주체간 협력과 네트워크가 이뤄져야 한다. 또 지역의 사회적 경제 부문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기업 운영의 목적이 이윤추구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진 역량 있는 사람이 육성돼야 한다.

사회적 경제의 기본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시스템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람이 희생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살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최근 청주의 사회적 기업이, 다른 사회적 기업을 위해 기금을 전달해 눈길을 끌고 있다.

사회적기업인 ㈜삶과 환경의 김경락 대표는 새롭게 출발하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3천만 원을 선뜻 내 놓았다. 이 기금은 충북지역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및 건강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첫 발이라는 것이 지역의 평가다. 특히 이 씨앗기금은 나눔과 환원이라는 사회적기업의 정신을 확산시키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나눔과 환원이라는 시회적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해 충북시민재단과 NGO센터는 올해 사회적기업가 7팀을 배출했다.

이들은 조만간 사업자 등록을 마치고 내년에 예비사회적기업으로 등록할 예정이다. 충북시민재단과 NGO센터는 이들에게 소셜미션(사회적 가치에 대한 교육)을 확립하고 아이템을 숙성시키는 등 컨설팅 기능을 하고 있다.

또 타 지역과 교류를 주선해 이들이 건전한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고 있다.

사회적 경제 활성화의 핵심은 지역의 자원을 토대로 지역의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 경제의 선순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지자체와 파트너쉽을 갖고 지역의 취약계층 등 약자들이 살아갈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한 자립적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제는 시장경제와 사회적 경제가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