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박일선 충북환경연대 대표

'달천(獺川)' 하면 속리산 삼파수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대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서원(西原)의 물이 중원(中原)의 젖줄 됨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단재선생 고향인 '고두미' 도랑이 달내의 발원지임을 아는 분들은 더 드물다. 한금령에 의해 한강과 금강으로 나뉘었던 물줄기가 청주·청원통합으로 충주와 청주는 달내로 하나가 되었다. 달내의 최장 발원지는 속리산 천왕봉과 문장대의 백두대간이다. 이에 버금가는 곳은 상당산성 서북을 지나가는 한남금북정맥에서 모인 물방울이 한 몸이 된 성내(城內)방죽이다.

이물은 산성 바로 남동쪽 낭성면 현암리를 지나면서 '감천(甘川)'이란 이름을 얻는다. 감천은 미원면 소재지로 흐르다가 구녀산에서 시작된 미원천과 성대교에서 합류된다. 미원천은 다시 옥화휴양림 서측에서 달내본류인 박대천과 하나가 된다. 그간 화양동계곡수는 그 색이 검다고 '거무내(玄天)'라고 불렀고, '감물'은 물맛이 달아서 생긴 이름으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닐 수 있다.

성내방죽 아래에 '검배'마을이 있다. '검배'는 다름 아닌 마을 입구에 사찰의 일주문(一柱門)같은 역할을 하는 바위를 말한다. 산성을 바라보고 오른편 바위가 좀 더 큰데 바로 위에 축사가 있고, 이집에서 버린 것으로 보이는 쓰레기에 덮여 있어 알아보기 어렵다. 왼편 바위는 일부 잘려나가 풀숲에 나뒹굴고 있는데 보이지도 않는다. 마치 어머니 자궁이 유린당하는 모습을 보는 것 같다. 겨레의 신화(神話)가 애완동물만도 못한 대접을 받는 현실에 가슴이 막혔다.

바위는 세월을 머금은 듯 검은 이끼를 일부 입고 있었지만 희다. 그런데 주민들은 '검배' 즉 '검은 바위'라고 부른다. 한자로 '玄岩(현암)'으로 옮겨 '현암리'란 행정명도 생겼다. 또 화양구곡 바위도 희다. 오염으로 인해 일부 검푸른 물 떼가 있을 뿐이다. 검지도 않은데 '거무내'를 '玄川'으로, '검배'를 '玄岩)'으로 옮긴 것은 오역이 아니라 이두식 훈차(訓借)로 봐야 한다. 괴산군 '감물(甘勿)'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세종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도 등장하는 오랜 된 지명이다. '감물'의 연원이 어디에 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그 주변에 'ㄱㆍㅁ'관련 지명이 많다. 마한 때 곤지국의 중심이었다는 '곤졸(昆卒)'과 그곳에 위치한 '곤지(昆池)', 박달산 아래 곰이 넘어 다녔다는 전설을 품고 있는 '곰니미골', 괴산읍의 진산인 금산, 아홉 구멍바위가 있다는 '구무정'이 그렇다.

충북대 김진수교수는 〈청원군지명유래〉에서 "ㄱㆍㅁ'은 'ㄱㆍㅁ, 검, 금, 가마, 가미, 고마, 가무' 등으로 나타나는데 '크다(大)'를 뜻한다"고 말한다. 배우리선생도 '금'과 '검'은 '크다'나 '신성하다'는 뜻을 지녔던 옛말이라고 한다. 'ㄱㆍㅁ'은 일본어 '가미카제(神風)'와 무속에서 조상신을 의미하는 '대감(大監)'을 지칭할 땐 '신(神)'의 의미로 쓰인다. 결국 감천과 감물은 '신(神)의 물'이며 '큰 내'다.

감물면에 접한 '박달산'은 '박달+산'으로 '박달'은 '박+달'이거나 '밝다'로 볼 수 있다. '박+달'은 '밝은 산, 큰 산'으로 직역할 수 있으나 이는 상고시대 '태양숭배사상'이 투영된 것이다. 백두산, 태백산, 함백산 등 많은 산이름에 나타난다. 먼 옛날 박달족과 웅족의 결합을 전하고자 이런 지명을 남겼을 것이다. 곰은 '웅녀'가 되어 땅의 신이 되고, 환웅은 태양신 즉 천신(天神)이니 하늘과 땅이 만나 사람(단군)을 낳음으로 '천지인' 삼신(三神)일체사상을 이룬 것이다. 달래일대의 이런 지명은 상고(上古)철학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젠 달내상하류의 문화유산을 재해석해 지역과 겨레의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 나아가 이를 문화교육관광으로 활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