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이병인 충남 공주 주재

공주시는 유구한 역사의 고장이다. 공주시는 1932년에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되기 전까지 장장 1천50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국가통치 및 지방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해왔던 천년 웅도(雄都)이다.

백제시대에는 5대 64년간 왕도였다. 통일신라 때는 지방행정의 거점 9개 주 가운데 하나였으며, 고려시대에도 지방통치의 거점 12목 중의 하나였다. 조선시대에는 청주, 충주, 홍주와 더불어 충청도의 거점 4목 가운데 하나였다. 임진왜란 이후 도의 감영이 공주에 소재했을 때는 공충도, 공청도, 공홍도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세종시 건설이 시작된 뒤로 공주시는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하고 장기면과 의당면을 세종시에 빼앗기고 말았다.

그뿐이 아니다. 세종시 지역으로 인구유출 현상마저 심각해 공주시의 존립 자체를 걱정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세종시와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시세가 약한 공주시가 세종시의 영향권에 종속될 것이라고 보고, 차라리 세종시의 일부로 들어가 그 이익을 공유하자는 생각일 것이다. 다행히 지난 7월 이러한 공주시의 역사적 위상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되어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이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덕분에 공주시민들의 답답했던 마음도 어느정도 위로 받을 수 있었다.

역사는 문화를 잉태하기 마련이다. 공주시는 오랜 역사를 통해 수많은 문화유산을 품게 된 문화의 도시이기도 하다. 공주시가 이처럼 역사와 문화의 향기를 주제로 하여 도시를 가꾸어 나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세계 각지로부터 그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문화소비자 즉, 관광객이 많이 오게 마련이다. 공주만큼 자연이 살아있는 친환경도시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활력이 넘치면서도 교양과 여유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살맛나는 공주시가 자리를 잡게 되기를 고대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