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서인석 부국장겸 음성·괴산주재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인해 신흥국이 줄줄이 금리인상 후폭풍을 맞고 있다. 미국 연준은 지난 16일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재의 0.00%∼0.25%에서 0.25%∼0.50%로 인상했다. 7년 동안 지속된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한 것이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9년 반 만에 처음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미국이 내년 3월에 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더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42명의 저명한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3분의 2가 더 올릴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내년에는 우리 경제가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미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인해 경제가 요동을 치고 있다. 특히 가계부채 리스크는 가장 큰 뇌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당장 아파트 분양 등 부동산 경기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부동산 매물이 나와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 1997년 IMF이후 상황과 비슷해 질수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두산, 삼성 등을 비롯한 대기업들은 벌써부터 연말 구조조정이 한창이다.

이런 가운데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지난 21일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올해 3월말 현재 가구당 평균 부채가 6천181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130만원(2.2%p)이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주의 부채가 평균 4천785만원으로 전년 대비 8.6%p 늘어나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결국 노후 소득이 불안한 고령층이 생활비 마련 등을 위해 빚을 많이 늘렸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전체 가구의 57.5%가 금융부채다. 이중 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의 경우 거주주택 마련 용도가 36.9%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자금 마련도 24.1%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거주주택 이외의 부동산 마련(15.7%), 전·월세 보증금 마련(7.3%), 생활비 마련(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년 후 부채 전망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는 사람이 58.3%로 대부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가계가 벌어들이는 소득보다 대출 원금이나 이자 상환 비율이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재무 건전성도 악화되고 있다. 또한 자영업자 가구주는 소득의 30.6%를 빚 상환에 쓰고 있다. 올해 3월말 기준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은 24.2%이다. 즉 가계가 100만원을 벌었다면 24만원은 원금이나 이자 상환에 쓴다는 얘기다. 이처럼 갚아야 할 부채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금융전문가들은 현재의 부채를 갑자기 줄이는 것은 어렵다고 말한다. 그래서 정부도 가계부채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고 연착률을 유도하기 위해 사전 위험관리 및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경기가 어려워질수록 평소 씀씀이를 줄이라고 충고한다.

또한 소득증가가 어렵기 때문에 재테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꽤해야 한다. 앞으로 부동산 불패는 없다. 즉 재테크에 대한 소비자들의 방향(사고)를 바꾸어야만 불경기에 살아남을 수 있다. 빚 내어 재테크를 하지 말라는 충고다. 여기에 대출 이자 등 금융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고리사채를 피하고 중금리(앞으로 생길 인터넷은행 등) 은행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결국 내년에도 국내외 경기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씀씀이를 줄여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