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오상영 영동대 경영학과 교수

경쟁전략의 대가인 마이클포터(M. E. Porter)는 대학이나 연구소가 소재한 지역의 발전 경쟁력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리차드 플로리다(R. Florida)도 지역 발전의 결정적 역할자는 대학과 같은 연구기관이라고 했다. 대학과 같은 기관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 구성원들이 소비하는 직접적인 경제활동과 지역 발전을 위해 활동함으로써 발생되는 간접적 경제활동의 경제적 효과이다.

그러나 최근 지방의 대학은 풍전등화이다. 지역 경제를 주도했던 대학의 역할이 줄어들면서 지역경제도 열악해질 것은 뻔하다.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교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강력한 대학의 구조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지방 소재 대학들은 대부분 행정적,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다. 2030년이면 대학의 반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시점에서 대학의 자구적 개혁은 당연한 것이다.

영동대학교도 최근 대대적인 학사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10여개가 넘는 학과가 폐지 대상이 되고 새로운 학과가 만들어진다. 대외적으로도 혁신의 일환으로 교명을 바꾸는 등 자구적 노력을 하고자 했지만 교명 변경 반대를 하는 일부 지역 주민 단체의 저지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군 의회 및 지역 주민들에게 동의를 구하는 중이었지만 본격적인 선거철이 되면서 정치와 맞물려 본질과 다르게 대학과 주민이 갈등하는 모습처럼 비춰지고 있어 안타깝다.

대학은 지역과 상생해야 한다. 지역 주민간의 화합도 중요하다. 그러나 선거철이 되면 일부 몇몇 정치인은 자신들의 표를 위해 주민 간, 대학과 지역 간의 갈등을 조장한다. 시비진시시환비(是非眞是是還非)하는 말이 있다.

시비음에서 논객 '허후'는 옳은 것도 시비를 걸면 글러진다고 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싸움의 주체는 양쪽 다 옳지 못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즉 지금과 같이 갈등이 계속 조장된다면 대학도, 지역 주민도 숙맥이 되는 것이다. 자신의 영달을 위해 지역 내 갈등을 부추기는 세력이 있다면 주민들이 나서서 도려내야 한다.

재학생 8천명 규모의 대학이 지역경제 창출규모가 연간 1천600억 원을 상회하고, 영구적 소득효과가 3조원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를 본다면 영동대학교는 매년 100억 원이 넘는 직접 효과와 700억 원 이상의 간접적 지역경제 창출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유럽의 르네상스 시대에 영국의 대법관이었던 토마스 모어(Thomas More)는 몸값이 비싸진 양들로 인해 사람들의 희생이 뒤따르자 "양들이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고 풍자하였다.

요즘 한국에서는 정치가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 가혹한 정치가 호랑이보다 무섭다고는 하지만 황금 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혹 주민 간의 갈등을 조장하거나 지역 경제 주체들을 선거판으로 끌어들여 한 정치인의 정치행위에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낙선시켜야 할 것이다.

거시경제이론에서 단기적 경제운용은 총수요 측면에 의해 결정되고, 장기적인 경제는 성장 동력의 발굴과 공급능력의 인프라 구축에 의해 발생되는 총 공급으로 결정되는 것은 상식이다.

대학의 지역 경제 기여도는 지역 경제 인프라를 지켜주는 것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대학이 정부정책에 의해 퇴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자체 예산으로 재정 보조를 해준다고 한다.

재정보조가 능사는 아니지만 상생의 노력을 기울여도 어려운 경제 난국에서 정치가 지역 경제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