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이규영 디지털미디어부

지난 13일 일본에서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을 주장하는 15~22세 여성 64명이 정부와 제약사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소송을 냈다. 일본 정부가 약물 부작용을 '환자의 불안에 따른 심리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잠정결론 낸 지 3년만이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13년 '자궁경부암 박멸'을 주장하며 자궁경부암 백신인 '서바릭스'의 접종을 적극 권장했다. 당시 약 328만 명의 일본인이 백신을 접종했고 2천여 명의 접종자가 부작용을 호소했으며 그 중 357명은 위독한 상태로 집계됐다. 당시 일본의 보건복지부인 '후생노동성'은 동통에 시달리는 43명의 병례를 검토한 후 "백신과 인과관계를 부정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이후 일본 정부는 '적극 권장'하던 백신접종 권유를 철회했다.

우리 정부도 자궁경부암 백신을 권유한다. 자궁경부암의 위험성을 인지한 국민들은 백신을 접종했지만 곧 또 다른 공포에 휩싸였다. 일본의 상황처럼 괴담인양 떠도는 여러 나라의 부작용 사례가 문제였다.

'나에게도 부작용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자궁경부암 부작용'이라는 키워드로 소셜미디어가 들끓기도 했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보도 자료를 통해 "WHO는 안정성 우려에 대해 '여전히 안전하다'고 반복적으로 발표했다"는 사실을 전했다.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 백신의 안전성을 거듭 발표함에도 국민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공포' 때문이다. 우리는 정보탐색자로서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알 뿐이지 그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0일부터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사이 출생자에게 백신을 무료로 접종한다고 밝혔다. 그와 함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를 잠재우기 위해선 '충분한 정보'가 필요하다. 정보탐색자에게 정보가 있다는 것은 고려할 수 있는 기준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정부는 국민 스스로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부작용 발생'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