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살려야' 공감대 확산, 재단·동문 등 타협 절실

[중부매일 최동일 기자] 청주지역 명문사학인 청주대학교가 3년연속 부실이란 '낙인'속에 존폐의 기로에 서게됐다.

하지만 학교의 명운이 안갯속에 있는 상황에서도 내부갈등에서 불거진 분란은 외부의 입김이 더해지며 여전히 진행중이어서 해결은 요원하기만 하다.

더구나 학생자원 급감이라는 상상초유의 파고속에서도 분열된 모습이 계속된다면 내년부터 시작되는 2주기 구조조정에서 학생모집의 직격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부실대학'의 나락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학교정상화를 위한 구성원들의 획기적인 태도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겉핥기 구조조정안 '퇴짜'

청주대가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3년연속 구조조정 평가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가장 큰 이유는 학내분규에 발목이 잡혀 내일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부에서 재정지원제한 카드를 내세워 고강도 구조조정을 요구하는 것은 급변하는 사회여건에 맞춰 대학들도 변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하지만 청주대는 학과개편이라는 가장 중요한 구조조정 방안을 회피한 채 일부 정원조정이나 다른 평가지수에만 매달려 해당 항목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더구나 이번 평가에서도 폐과됐던 사회학과가 되살아나는 등 학과 통·폐합이 아예 빠져 교육부가 제시한 구조조정 컨설팅과 거리가 멀었다.

대신 66명의 학생정원을 30개가 넘는 일반학과에서 일률적으로 2~3명씩 줄이는 정원감축안을 제출해 평가때부터 좋은 점수를 기대하기 어려웠다는게 주위의 시각이다.

2년 연속 재정지원제한 대상에 포함된 만큼 고강도 구조조정을 요구했으나 학교측의 대응은 그야말로 안일하기 짝이 없었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학과 개편을 통해 미래를 대비한 교육과정을 갖추고 축소·폐지된 학과 학생들의 학습권 등 보호대책을 주문한 것이었는데 청주대는 단 하나의 통폐합도 포함시키지 못했다.

거꾸로 사회학과 폐과가 학내분규에 휘둘리면서 대학당국에 반대하는 이들의 반발로 결국 되살아났으며 다른 학과 개편은 시도조차 못한 채 평가를 마친 것이다.

◆2년도 안돼 3번째 총장교체

이번 평가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청주대 김병기 총장과 교무위원 전원은 지난 26일 일괄사퇴했다.

그러나 새 총장 선임이 곧바로 존폐위기에 처한 청주대의 해법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청주대 사태가 불거진뒤 만 2년 사이에 김윤배 전 총장을 포함해 벌써 3명의 총장이 자리를 물러났으며 이번 3번째 교체도 주위환경 변화없이는 아무런 결실을 거두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해 9월 '교수회 학칙 기구화' 분란끝에 학교를 맡은 김 총장의 경우 총학생회, 교수회, 노조 등과 개별적으로 관계를 복원하는데 성공했지만 학교밖으로 번진 갈등을 잠재우는데는 실패했다.

내분이 길어지고 깊어지면서 학교 담장을 넘어간 청주대 사태는 현재 당시 비상대책위원회를 이끌었던 이들과 김윤배 전 총장과의 법정다툼으로 분쟁의 양상이 바뀐 상태다. 이같은 분위기 때문인지 평가결과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반응은 위기의식 확산과 긴장감 고조로 정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1주기(2014~2016년)에 이어 2주기에도 부실대학이 된다면 학교 이미지 추락은 물론 학생모집에서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내몰릴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확산된 공감대 구심점 필요

이런 까닭으로 이번 평가를 기점으로 대학의 구성원들이 학교살리기에 전념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는 것이 대학측의 설명이다.

청주대 총학생회도 "이번 평가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그동안 학교를 이 지경으로 몰고간 어떠한 세력들도 자유롭지 못하다"며 모든 구성원의 단합을 호소했다.

이들은 결과발표후 성명을 통해 총장 및 교무위원들의 사퇴를 촉구하고 "상황 타개를 위해 혹독한 구조조정에 다같이 동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문했다.

특히 총학생회는 "다시 한번 학교의 혼란을 조장, 방조하거나 외부세력과 결탁해 학교를 구렁텅이로 몰고갈 경우 그세력에 대해 침묵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학교를 살려야한다'는 이같은 기류가 어느정도 결실을 거둘 수 있느냐는 앞으로 마련될 학과 구조조정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지 정도에 달려 있다.

회복불능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정상화를 요구하는 내부 구성원들이 한목소리를 낸다고 하더라도 그동안의 갈등으로 벌어진 틈새를 좁히기 위해서는 구심점이 필요하다.

재단의 존립과 직결된 대학의 위기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그 첫 단추는 이제 재단측에서 꿰어야 한다.

대대적인 변화로 위기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맞을 수 있을 지, 아니면 다시 무위에 그치며 끝내 나락으로 떨어질 지, 청주대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절박한 지경에 이르렀다. / 최동일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