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이탈주민 위해
지원기관 실무협의회 만들어야

#2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입국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12월 기준 2만8천795명의 탈북민이 한국을 찾은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충북에는 전체 북한이탈주민의 3.2%가 정착해 생활하고 있습니다.

#3 탈북과정에서 겪은 육체적·정신적 고통, 체제가 다른 데서 비롯된 가치관의 혼란과 외로움, 남겨진 가족들에 대한 죄책감까지, 북한이탈주민과 그 자녀들은 불안합니다.

#4 “북한이탈주민의 빠른 정착을 위해서는 남한주민과 분리하는 시각과 인식부터 개선해야 합니다. 서로의 다름을 받아들일 수 있는 통합적인 지원사업과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합니다. 또한 떡을 줄 것이 아니라 떡을 만드는 기술, 자립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줘야 합니다.” -김선미 남북하나재단 전문상담사

#5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기관별 지원 서비스는 굉장히 많고 중복도 많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그런 정보를 모른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은 자녀교육입니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데 형제도 없고 친척도 없습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에 대한 지원 확대가 무엇보다 절실합니다. - 김선희 북한이탈주민

#6 “탈북과정에서 겪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아이들에게 그대로 전해진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가족캠프 등 부모와의 관계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방과 후 방임되는 아이들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 서은정 푸른나래공부방 시설장

#7 “북한이탈주민들은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사기를 당하기 쉽습니다. 충북경찰은 이분들의 사기 피해 예방과 가정폭력 문제에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 지식이 없다보니 한계가 있습니다. 지원기관 실무자들이 수시로 연락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실무협의회가 필요합니다.“ - 이병근 충북지방경찰청 보안계장

#8 “해마다 북한이탈주민 수가 증가하면서 지원사업에 대한 욕구도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예산이 편성되어 있지 않고, 조례조차 제정되지 않은 지역이 있습니다. 당사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욕구조사가 선행된 뒤 어떤 사업을 어떤 내용으로 진행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 안효숙 충북도청 자치행정과 주무관

#9 “충북교육청은 탈북학생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고 진로·직업교육 내실화, 교육 지원 기반 강화 사업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탈북학생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것을 꺼립니다. 낙인 방지를 위해 학생들이 원하는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곽태현 충북도교육청 진로인성교육과 주무관

#10 “충북하나센터는 사업 시작 후 위탁기관만 세 번째 바뀌면서 사업의 연속성을 갖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원예산도 넉넉하지 않아 어려움이 많지요. 비품이나 차량지원도 불가능합니다. 지원사업이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재정 지원 확대와 함께 위탁기관이 연속성을 가져야 합니다.“ - 백운기 충북하나센터 사무총장

#11 “북한이탈주민들은 그들만을 위한 프로그램보다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통합 프로그램을 원하고, 학생들은 탈북학생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것을 꺼려한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사자 중심의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해서는 지역 통합을 위한 욕구조사가 선행돼야 합니다” - 이화정 충북도종합사회복지센터장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