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무지 돌파구가 안보여” “그사람 도무지 얘기를 안들어” 등를 말할때 ‘도무지’라는 표현을 쓴다. 주로 부정적인 표현을 말하는데 따라붙는 부사이다. 비슷한 말인 ‘도시’도 도무지가 변한 말이다. 영어로는 ‘never’나 ‘not at all’ 정도가 된다. 도무지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 언뜻 본면 도무지 그 어원을 알 수 없다. 상상이 잘 안가겠지만 이 말은 조선시대 형벌제도에서 나온 말이다. 그것도 가벼운 벌이 아니라 사형을 시키는 형벌이었다.
 ‘도무지’는 글자 그대로 얼굴에 종이를 바른다는 뜻으로 한자에서 왔다. ‘진흙 도(塗)’, ‘얼굴 모(貌)’, ‘종이 지(紙))’ 자를 쓰고 있다. 형벌과정은 이렇다. 죄인을 움직이지 못하게 묶어놓고 물을 묻힌 종이를 얼굴에 몇겹이고 착착 발라 놓는다. 그러면 아무것도 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고, 말도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종이에 물기가 말라감에 따라 죄인은 숨조차 쉬지 못하면서 서서히 죽어가게 된다.
 ‘도무지’는 이런 끔찍한 형벌 도모지가 변한 말이다. 바로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는 뜻이다. 이것 외에도 우리말 중에는 형벌과 관련된 것이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경우가 ‘육시랄’과 ‘오살’이다. 육시살은 죄인을 사형시키고 나서 다시 여섯번을 더 죽인다는 뜻이다. ‘오살(五殺)’은 큰 죄를 지은 사람을 다섯 토막내 죽이는 끔찍한 형벌이다. 이들은 모두 심하게 나무라거나 욕할 때 쓰는 상스러운 비속어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