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장병갑 정치부장

충북도청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느냐, 못하느냐를 놓고 연일 시끄럽다. 김영환 충북지사가 추진하는 소위 '차 없는 도청' 시행 때문이다. 가뜩이나 부족한 주차면수로 직원들이 불만이 상항에서 그나마 있던 주차공간마저 부족하게 되고 아예 차를 끌고 출근할 수 없다보니 불만일 수밖에 없다. 김 지사는 충북도청을 차 없는 공간으로 만들어 도민들이 문화예술 공간, 휴게 공간, 관광·체험공간으로 도청을 편안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정원 등과 연계해 도청 내부를 프리마켓, 야외전시장 등 복합공간으로 활용하겠다며 '차 없는 도청'을 추진하고 있다. 김 지사가 이러한 구상을 밝힌 직후부터 시범운영 기간 여러 문제점이 제기됐다. 시행되더라도 시간을 충분히 두고 시행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시범운영 기간이 끝난 바로 다음 날부터 도출된 문제점들을 보완해 관리자급 직원들의 자율 참여를 유도하는 '자율적 시행'으로 '차 없는 도청' 정책이 계속 시행되고 있다. 직원들의 불만을 급기야 충북도공무원노동조합이 '차 없는 도청 반대운동'을 진행한다고 천명했다. 노조는 이 정책이 중단될 때까지 충북도청 청사 정문과 서문에서 2인 릴레이 시위를 진행키로 했다.

'아이러니'하다. '차 없는 도청' 시행이 촌각을 다투는 현안이 아닐진대 김 지사 취임 후 충북도청에서 큰 이슈가 되고 언론에도 가장 빈번하게 오르내리고 있다. 첫 시행을 구상할 당시 이렇게 도청을 뒤흔들 '태풍'이 될 지는 아무도 몰랐을 것이다. 김 지사도, 노조도 불만이다. 김 지사는 시행에 앞서 노조에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는 입장이다. 김 지사는 출근 첫날부터 노조와 상의하고 회의할 때도 제일 옆에 앉아 논의했는데 준비가 전혀 없이 시행했다고 비난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것이다. 반면 노조는 직원들의 의견수렴 없이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졸속행정에 직원뿐만 아니라 주민 모두가 몸살을 겪고 있다고 김 지사를 겨냥했다.

장병갑 정치부장
장병갑 정치부장

결국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탓이다. 소통을 충분히 했다고 생각하지만 결국은 자신의 입장만 '대변'했는지 되돌아 봐야 한다. 흔히들 소통은 '경청(傾聽)'에서 시작된다고 한다. 남의 말을 잘 듣는 것이 소통의 처음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듣는 것보다 말하기를 좋아한다.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상대방을 설득하며 말을 이어간다. 이러한 것을 소통이라고 착각하곤 한다. 누군가의 입장만 전달하거나 아니면 말없이 듣기만 하는 것은 소통이 아니다. 소통은 각자의 입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히 말 할 수 있는 기회를 서로에게 주는 것이다. 서로 하고 싶은 말을 여과 없이 할 때 진정한 소통이 이뤄졌다고 말 할 수 있다. 특히 윗사람은 아래 사람에게 의견을 먼저 구해야 한다. 자신부터 의견을 장황하게 설명하면 의견 수렴에 오해와 왜곡이 있을 수 있다. 의견을 구하고 경청하는 것이 진정한 소통의 미덕이다. 김 지사가 최근 '차담회'와 같은 좋은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먼저 의견을 구했는지, 정책 설명이 앞섰는데 되짚어 볼 일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