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뜨락] 모임득 수필가

독자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지역작가의 창작 의욕 고취 및 지역 독서문화 발전을 위해 오창 호수도서관이 새롭게 시작한 사업이다. 작가들이 시민들에게 작품을 알리고 소통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내가 작가라고 앞에서 이야기할 수 있을까. 작가 소리 들을 만큼 치열하게 창작활동을 하였는지 고민하다가 내 글이 독자에게 어떻게 느껴지고 스며드는지 궁금했다. 작가는 문학, 미술, 음악 등의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뜻한다. 보통 예술가라고 하면 통칭이고, 어떠한 창작 활동을 하든 다 작가라는 말에 용기를 냈다.

수필이 일상의 이야기를 모티브 삼아 내면의 생각들을 제 방식대로 펼쳐내는 글이다 보니 수필집 한 권을 읽고 나면 작가를 환하게 꿰뚫게 되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작가 내면의 깊이를 드러내 보여 속속들이 발가벗겨지는 듯한 느낌이 들어 부끄럽기도 하다. 그렇다고 벗을 듯 안 벗을 듯 살짝 가리고 있듯이 쓰는 성격이 못되니 어쩌겠는가.

본인이 읽고 싶은 구간을 읽고 느낀 점을 말하거나, 책 전반에 관한 이야기도 좋고, 궁금한 거 물어봐도 좋고, 나를 다독여준 문장을 이야기하기로 했다.

『먹을 갈다』책에 남편을 보내고 쓴 슬픈 글이 있지만 다른 글이 많으므로 걱정을 안 했는데, 한 독자가 '2월과 3월 사이'를 읽는다. 제일 개인적인 글 일수도 있고 슬픈 글이다. 아니나 다를까. 여기저기서 훌쩍거린다. 1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 남자도 참여한 만남이다. 슬픔에 겨워 2월 30일을 살고 있다는 글을 다 읽었어도, 눈물을 훔치는 독자들 앞에서 난 울음을 꾹꾹 누르며 진행한다.

수필이 치유의 문학이긴 하나 두 시간 내내 눈시울이 붉은 독자들을 보며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7~10명 정도 원탁에 둘러앉아 허심탄회하게 일상사를 나누고 글로 써 보며 토론하는 시간도 괜찮을 듯싶다. 가정사에 풀리지 않는 일을 작가에게 이야기하면 무언가 정답을 제시해 줄 것만 같은 희망의 끈을 가지고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 독자도 있다.

모르지만 아는 것 같은 이웃, 내 언니 같은 작가와 만나 따뜻한 국밥같이 따순 이야기들을 나누며 고단했던 내 일상을 돌아본다. 어쩌면 훌쩍이는 눈물 속에 그동안 힘겨웠던 삶을 다독이는지도 모른다. 『먹을 갈다』책의 독자들은 다 한바탕 울었다고 한다. 카타르시스를 느꼈단다. 울었다는 제목은 다 다르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공감대가 형성되며 가슴속에 눌려있던 눈물샘이 폭발한다. 그러면서 치유가 된다.

누구나 글쓰기가 가능할까. 내가 살아온 이야기는 이 세상에 하나뿐인 나의 이야기다. 하고 싶은 말을 기록해두지 않으면 나중에 다 잊어버린다.

책을 읽다 웃기도 하고 눈물을 흘리면서도 작가의 삶을 통해 나만의 꿈으로 만나는 것, 그것이 문학이 아닐까. 문학은 내 주변의 작은 것들을 꼼꼼히 살피는 데서 시작된다. 관찰력이 생기고 글처럼 선하게 살려고 노력하게 된다. 생의 글쓰기는 그래서 누구나 가능한 일이다.

모임득 수필가
모임득 수필가

작가의 생각을 듣는 것은 작품을 읽는 것과 또 다른 느낌이다. 작가의 인생, 책 속 궁금한 이야기 속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작가와의 데이트. 내 문학세계와 인생에 참여해 준 독자들의 한 분 한 분 보석 같은 말과 표정에서 난 행복했다.

볕 좋은 가을날, 새뜻하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