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뜨락] 이은희 ㈜대원 경영지원본부장·수필가

섬은 끝내 낯설다. 숙소에서 바라본 검푸른 새벽 바다는 움직임이 없다. 물꽃 없는 바다는 꽁꽁 언 호수처럼 기이하게 느껴진다. 장시간 여정에도 두 눈은 어김없이 묘시에 떠진다. 잠에 취한 일행이 깨지 않도록 살금살금 일어난다. 주위를 둘러봐도 뜨거운 커피를 담을 용기가 없다. 전기 포트에 커피를 쏟아붓고 손에 쥔다. 뇌리에 내내 그렸던 한 폭의 그림처럼 한가한 백사장에 자리한다.

명사십리 바다는 남다르다. 동해의 격한 파도를 꿈꾸지 마라. 적요한 섬처럼 파도도 수굿수굿하다. 걸음에서 고운 모래 소리가 청각을 깨운다. 우리는 약속이라도 한 듯 고개 숙여 바닥을 살피며 걷는다. 신은 무의식 속에 일어나는 감정과 속내를 읽은 듯 발밑에 선물을 내놓는다. 속살은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은 별불가사리류인가. 꽃무늬가 그려진 도자처럼 말끔하여 신기한 듯 만지작거린다. 그러다 바닥에 새겨진 무늬 형상에 꽂힌다. 밀물이 백사장에 그려놓은 물길이 마치 나무처럼 보인다. 시선을 확장하니 잎을 떨군 나목이 즐비하다. 한여름 바닷가에서 나목을 만나니 묘한 기분이 일어난다.

일명 파도를 먹고 사는 나무이다. 백사장에 밀물 썰물이 무시로 오가며 물길을 낸 나무 형상은 파도가 빚은 흔적이다. 바닥에 남긴 물길은 파도의 강약에 깊이가 굵거나 가늘게 미세하게도 그려진다. 물길은 파도가 강하면 흔적 없이 사라질 수도 있다. 육지의 나무는 나이테를 보고 수령을 헤아릴 수 있으나, 파도를 먹고 사는 나무는 나이를 알 수가 없다. 매일 들고나는 파도에도 나목은 흔적 없이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밀물이 달려온다. 나무는 바다가 주는 대로 파도를 삼키고 있다. 바닥에 핀 물꽃은 잦아들거나 이내 제자리로 돌아간다. 나무는 작정하고 바닷물을 먹고 있는 듯하다. 먹는다는 건 과연 어떤 의미일까. 그리 생각하니 인간은 말을 먹고 사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아침에 눈을 뜨고 일어나 잠들기까지 수많은 말을 쏟아내고 있다. 쏟아낸 말을 호주머니에 아니 상자에 주워 담는다면, 말의 무게는 어느 정도 될까 궁금하다. 문장을 퇴고하며 매번 느끼는 것이 있다.

머릿속에 담아 둔 언어를 백지에 펼쳐 놓으면 문자가 어마어마하다. 무엇보다 온몸에 이렇게 많은 언어를 품고 하중을 이겨내는 육신이 위대하다. 그런데 인간은 언어의 무게를 느끼지 못하니, 언어는 공기보다 가벼운지도 모른다. 하지만, 성마른 자가 늘어놓는 언어를 떠올리면 그것도 아니다.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달콤한 말과 불만을 늘어놓아 판단을 흐리게 하는 말은 상대에게 책임져야 할 무게가 상당하다. 우리는 자기 몸속에 언어를 파먹고 사는 인간이라는 생각에 다다른다. 나이가 들어가니 말을 하는 것보다 듣고 있을 때가 편안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여하튼 언어는 말로 꺼내든 백지에 내놓든, 말하는 본새와 글 쓰는 품새에 적당한 조율이 필요하다.

다시금 물길을 살핀다. 파도만 먹고 사는 나무라고 생각하니 안쓰럽기 그지없다. 순간 짠물이 나무를 와락 덮친다. 파도의 극성에 물의 매를 숱하게 맞고 있다. 나무는 온몸을 짠물로 무시로 헹구니 고순도의 경지에 다다랐으리라. 어쩌면 나무는 변화와 처세술에 능한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무도 인간이 생활하며 느끼는 고통처럼 외력의 두려움과 불안감을 겪으며 파도에 기꺼이 순응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은희 수필가·㈜대원 전무이사
이은희 수필가·㈜대원 전무이사

나무는 물의 맷집과 짠물의 역사를 지닌 물줄기이다. 물길을 바라보며 모순투성이인 언어와 감정을 정련하는 시간이다. 나는 섬에 오기 전까지 두 갈래 길에서 갈등으로 편치 않았다. 섬에 도착하니 정작 바다를 즐기는 언어와 마음의 갈등은 진심이 아닌 듯 어정쩡하다. 여하튼 '말은 아끼고, 뜸을 들여야 하고, 말미를 둬야'한다고 했던가. 진리는 생활 속 처처에 놓여 있다. 파도는 나의 상념과는 다르게 해안에 나무를 새기느라 열일 중이다.

키워드

#아침뜨락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