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 농가 인접 젖소 조사 결과 항체 20~40% 불과

중부매일 DB

[중부매일 김정하 기자] 구제역이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젖소 사육 농가와 인접 농가들까지 항체 형성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7일 충북도에 따르면 구제역이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젖소농장과 인접한 2개 농가를 대상으로 항체 형성률을 검사한 결과 각각 40%와 20%에 그쳤다.

두 농가는 젖소를 각각 80마리 정도 사육하고 있다. 도는 두 농가에서 10마리씩 표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앞서 구제역 확진 농장의 항체 형성률 역시 19%에 불과했다.

방역 당국이 밝힌 충북 지역 소의 평균 항체 형성률 97.8%와는 상당히 격차를 보이는 결과다.

도 관계자는 "정확한 상황을 진단하고자 구제역 확진 농장의 반경 500m 내에 있는 한우 농가 9곳에 대해서도 7일 항체 형성률을 확인하기 위한 채혈검사를 하기로 했다"고 밝히고 "검사 결과에 따라 소 사육 농가 전반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젖소농장이 취약한 것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이날 농림축산식품부는 "항체 형성률이 낮다면 접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백신 접종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인했다.

그동안 방역 당국의 구제역 검사가 발생 빈도가 높았던 돼지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으로도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구제역이 빈발했던 돼지의 경우 전체 농가를 대상으로 1년에 한차례 이상 혈청 검사를 해왔다. 그러나 소는 전체 사육두수의 10% 정도만 혈청 표본검사를 실시해 허점이 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우보다 젖소가 취약할 수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통상 혈청 표본검사는 도축 과정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개체수가 많은 한우 위주로 이뤄질 수 밖에 없다. 이같은 시스템 탓에 젖소 농가가 백신 접종을 제대로 하지 않더라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여기에다 젖소 사육 농가들이 백신을 접종할 경우 착유량이 떨어진다고 우려하는 농가들이 기피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충북도 관계자는 "농가를 일일이 방문해 혈청 표본조사를 할 수 없다 보니 방역 당국이 발표하는 항체 형성률에 통계상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