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농가수 대비 0.3% 불과… 진입장벽 낮춰 고도화 추진


[중부매일 장병갑·이재규 기자] 우리나라 스마트 농업(팜)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 기술을 보유한 미국 대비 75% 수준으로 평가된다.

국내 스마트 농업의 시장도입 미진과 관련 기업이 영세해 낮은 국산화 및 고도화를 보이는 실정이다.

실제 스마트 농업 관련 기업 대부분이 5인 미만의 영세 업체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초기 투자비가 높은 시설원예 중심의 보급으로 대형농가 위주로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노지농업 위주의 국내 농업 구조에 적합한 스마트 농업 모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충북 스마트 농업 현황

우리나라 전체 농가 수(농림사업정보시스템 2022년 기준)는 181만1천377호에 경작면적은 149만4천707㏊다.

이 중 ICT(정보통신기술) 지원농가는 1만636호에 918㏊다.

지원 사업비는 648억원이다.

충북 전체 농가는 11만8천188호로 경작면적은 9만696㏊다.

이중 스마트 농업 농가는 393호에 222.5㏊에 전체 농가 수 및 경작면적 대비 0.3%와 0.2%에 불과하다.

통신 원격제어와 단순 환경관리를 하는 스마트 농업 1세대는 130농가에 43.9㏊다.

통신 원격제어뿐만 아니라 한 단계 진일보한 데이터를 활용한 복합환경관리까지 시설을 갖춘 스마트 농업 2세대 농가는 263곳에 178.6㏊로 앞선 세대보다 2배 이상 늘었다.

도내 시·군 중 스마트 농업 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괴산군이다.

괴산군 스마트 농업 면적은 60㏊로 도내 전체 스마트 농업 면적의 4분의 1이 넘는다.

이는 괴산 노지스마트농업 단지(53㏊)가 조성됐기 때문이다.

모두 252억6천만원이 투입된 괴산 노지스마트농업단지는 생산단지가 51.2㏊, 유통단지 1.8㏊로 이뤄졌다.

생산·교육·연구·산업 기능은 충분하지만, 가공·유통·관광 기능이 부족한 점에 착안, 이를 보완해 중부권 스마트 농업 명소로 육성될 전망이다.

김기은 충북도 스마트농업팀장은 "도내 전체 농가의 0.3%(온실 농가의 3%) 정도가 스마트 농가로 조사됐다"라며 "도내 스마트 농업은 아직 출발 단계이지만 기초적인 ICT시설 보급만으로 스마트 농가 확대가 가능한 여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충북 괴산군에 노지 스마트 농업 시범단지가 조성돼 충북 노지 스마트팜 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스마트 농업 국내·외 전망 및 충북도 전략

△국외시장

세계 스마트농업 시장은 2020년 137억 달러(18조원)에서 오는 2025년 220억 달러(30조원) 규모로 연평균 9.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 비중이 시설원예에 비해 크며 농업용 드론 및 자율주행 트랙터 시장이 급성장해 스마트 농업의 큰 축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르고 식품 수요가 증가하는 아시아지역(호주, 일본, 중국 주도)을 중심으로 스마트 농업 확산이 전망된다.

△국내시장

국내 스마트 농업 시장은 2025년 기준 7조6천억원으로 연평균 8.4% 성장이 예상된다.

세계 스마트 농업 시장(9.8%) 대비 성장률이 다소 낮고 농지 면적이 작은 국내 상황에 따라 시설원예 시장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식물공장의 규모는 작으나 성장률이 높아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스마트 농업 혁신 계획 및 육성·지원 법률 제정되면서 국내에서도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 추진 방향

노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등 농촌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규 농업인을 농촌으로 유인해 세대교체가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 충북도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미래 농업에 적합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해 사람과 더불어 농업 행태도 업그레이드해 더 젊고 스마트한 농촌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 같은 충북형 스마트 농업을 위해 충북도는 ▷시설농업에서 노지농업 등 농업 전 분야로 범위 확장 ▷ICT 장비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수집, 분석, 활용 기능 강화 ▷기존 농업인과 함께 청년농 등 포괄적 인력양성 추진 ▷충북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로 스마트팜 선도 및 확산 주도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소비·농촌 생활을 포괄하는 정책 마련 등을 추진 방향으로 설정했다.

김기은 충북도 스마트농업팀장은 "도내 실정에 맞는 ICT 시설지원 사업의 적극적 개발 및 지원으로 스마트 농업으로 진입장벽을 낮추고 장기적으로 2·3세대 중심의 고도화가 요구된다"며 "향후 정부 정책에 선제적 대응을 통해 충북 스마트 농업 발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반을 갖추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터뷰] 농업 30년 차 대소면 막내 농부 윤명규 씨

 

윤명규 씨가 충주시 대소면 자신의 논에서 장마철 피해가 염려돼 콩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이재규
윤명규 씨가 충주시 대소면 자신의 논에서 장마철 피해가 염려돼 콩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이재규

대학을 졸업하고 바로 농업의 길로 뛰어든 윤명규 씨(57·충주 대소면).

농사를 지은 지 30년이 훌쩍 넘어가는 50대 후반대지만 지역에서는 막내 농부다.

윤 씨는 처음 농사일을 시작했을 때와 지금, 차이가 뼈저리게 느낄 정도라고 말한다.

바로 농촌 환경이 180도 달라졌기 때문이다.

"요즘은 농사하는 젊은 사람들이 없어요. 저만해도 우리 대소면에서 막내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충주에서 자란 윤 씨는 10대 학창 시절 늘 마을의 농사일을 도우러 다녔다. 학교에서도 농사일을 지원하기 위해 수업을 빼줄 정도였다. 지역 어른들은 늘 농사를 지었고 주변 친구들도 농부의 자녀들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지역 어른들은 30여 년이 지나면서 70~80대 어르신이 됐다. 윤 씨 또래였던 농부들도 농사일을 접거나 지역을 떠나면서 자연스럽게 젊은 층이 줄어들었다.

일할 사람이 부족해지자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했지만 인건비가 만만치 않아 이마저도 쓰지 못하고 있다. 3년 전만 해도 하루 일당이 12만원이었지만 지금은 15만원을 훌쩍 넘겼다.

"요즘은 기계가 다 하는 세상이 와서 좀 더 편리하죠"

농촌에 농부들이 크게 줄면서 윤 씨가 처음 농사짓던 시절과 큰 차이가 생겼다.

농기계가 발전하면서 농사짓기가 한층 편리해졌다.

농기계가 없던 젊은 시절 윤 씨는 하루 1마지기(200평)를 겨우 심을 수 있었다.

지금은 이앙기를 이용해 하루 30마지기(6천평)를 심는다. 이앙기엔 GPS가 장착돼 직접 기계를 운전하지 않아도 알아서 모를 심어준다. 무더운 여름철 직접 방제를 하지 않고 드론을 이용해 농약이나 영양제를 뿌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윤명규 씨가 충주시 대소면 콩 농사를 짓는 논을 가리키고 있다./ 이재규
윤명규 씨가 충주시 대소면 콩 농사를 짓는 논을 가리키고 있다./ 이재규

"농촌에 일할 사람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스마트팜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봅니다"

윤 씨는 스마트 팜에 대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례로 얼마 전 마을에 딸기 스마트팜이 들어서 시설 등을 살펴보니 기계가 알아서 농사를 지어 매우 편리하다는 점을 몸소 깨달았다.

기본적으로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해두면 인공지능과 지리정보시스템, IT기술이 접목돼 최고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점은 부담이다.

농촌에서 억 단위 초기 비용을 감당하긴 어렵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윤 씨는 "지자체에서 대출이자를 대폭 인하, 농기계 임대 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청년들이 사업에 뛰어들 수 있다"며 "또 지역 대학이 농촌 진흥에 앞장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