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고부가가치 농업 육성… 1억 농부·세계화 실현"

편집자

스마트농업은 어려움에 직면한 우리나라 농촌 상황을 고려할 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열악한 노동환경과 고령화로 인한 일손 부족 등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 스마트농업은 낮은 기술발전과 도입 수준이 높지 않다. 충북의 경우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에 충북도는 충북형 스마트팜을 추진하며 농업 육성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충북형 스마트팜 추진 상황과 나타난 문제점, 해결방안, 나가야할 방향 등에 대해 민영완 충북도 농정국장에게 들어봤다.

 

민영완 충북도 농정국장이 충북형 스마트 농업(팜)에 대한 업무를 보고 있다. /윤재원
민영완 충북도 농정국장이 충북형 스마트 농업(팜)에 대한 업무를 보고 있다. /윤재원

[중부매일 장병갑 기자] "충북농업을 지속 가능하고 고부가가치 농업으로 육성해 중·장기적으로 '1억농부 실현'과 '충북농업의 세계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민영완 충북도 농정국장이 밝힌 충북도가 추진하는 충북형 스마트 농업(팜)은 'Water-Energy-Food-House Nexus 복합타운' 개념이다.

스마트팜 조성 시 수열 및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문화, 관광, 교육 등과 연계한 6차 산업화와 주거 공간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고부가가치 농업을 실현하는 첨단농업단지 형태다.

"대규모 스마트팜 조성과 임대형 스마트팜을 통한 청년농 중심의 전문 스마트농업인 육성, 스마트팜 조성을 위한 재정자금 지원제도 정비와 열악한 농업의 노동환경과 일손 부족 해서를 위한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자동 시설 지원 병행을 통해 충북농업을 지속 가능하고 고부가가치 농업으로 육성해 중장기적으로는 1억 농부 실현과 충북농업의 세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민 국장은 타 시·도와 비교해 충북만의 특색으로 천혜의 경관자원과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꼽았다.

충북은 내륙의 바다라 할 수 있는 충주호, 대청호 등 거대 호수가 자리를 잡고 있다.

여기에 국토의 중심에 위치해 있어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농업을 생산, 유통, 가공뿐만 아니라 문화, 관광 등과 연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민 국장은 자부한다.

"충북 스마트농업은 첨단시설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가공·판매의 6차 산업화로 발전시켜 레이크파크 르네상스의 자연환경, 문화와 연계하는 관광산업으로 육성해 고부가가치 농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점에서 타 시·도와 차별화됐다. 또 충북은 시설하우스 등 온실 스마트팜 외에도 전국 최초 노지 콩 스마트농업단지와 유기농산물 스마트 농업단지를 조성해 데이터 표준화와 영농 편의성을 제시해 지속 가능한 농업의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지열, 수열, CO2 포집 등 탄소중립 및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팜 조성으로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와 환경친화적 농업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사람과 자연 중심의 농업을 지향한다는 점도 다른 시·와 다른 충북만의 특색이다."

충북 도내에는 현재 모두 4개소의 공공분야 스마트팜 단지가 운영 및 조성 중이며 7개소의 민간 스마트팜이 조성돼 있다.

민 국장은 앞으로 이를 더욱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10월 현재 공공분야의 경우 괴산군 불정면에 노지 콩 스마트농업단지(53ha)를 운영 중이고, 칠성면에는 2025년까지 K-유기농 스마트농업단지(74ha)를 만들 계획이며, 제천시에는 지역특화임대형 스마트팜(6.1ha)과 바이오첨단농업 복합단지(17.5ha)를 조성한다. 향후 2028년까지 영동 3개소, 보은 2개소, 청주·진천·증평·옥천·단양 각 1개소 등 도내 10개소의 스마트팜 단지를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민간 분야 스마트팜도 7개소에서 2025년까지 20개소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팜 조성 희망 농가 수요조사 및 선발을 통해 교육, 시설, 컨설팅 등 종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도내 스마트 ICT 시설 설치 농가는 532호에 163.4ha다.

이중 스마트폰 연계 원격제어가 525농가 157.5ha, 데이터기반 정밀 생육환경 제어는 7농가 5.9ha다.

지속적인 예산지원을 통해 오는 2028년까지 2천호, 600ha까지 농가와 면적을 확대하겠다는 것이 충북도의 목표다.

충북형 스마트팜을 추진하면서 마냥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난관에 직면하기도 한다.

민 국장은 스마트팜 단지 조성에 가장 큰 해결 과제로 부지확보를 꼽는다.

"토지매입 시 토지주의 동의가 쉽지 않아 대규모 단지화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공유지나 농어촌공사의 위탁농지를 중심으로 스마트농업단지 조성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다. 또 사유지 토지매입을 위한 토지주 설득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인력 부족과 초기 막대한 시설투자 비용도 충북형 스마트팜 추진에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첨단농업 기술력을 보유한 전문 농업인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내 대학에 스마트농업 관련학과를 개설하는 등 인력 확보 및 육성에 노력할 계획이다. 또 스마트팜의 경우 초기 시설투자 비용이 많아 진입장벽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시설 설치 자금 지원 확대를 위해 충북도 농어촌개발기금 지원제도를 정비하고 시설비를 낮출 수 있는 보급형 스마트팜 모델의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

민 국장은 우리나라 농업 발전이 더딘 가장 큰 이유로 ▷열악한 노동환경 ▷고령화로 인한 일손 부족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노동강도 ▷노지 농업의 더딘 기계화율 ▷낮은 소득 등을 꼽았다.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로 청년층이 농촌을 기피해 신규 농업인력이 유입되지 않아 농촌 고령화를 더욱 가속하고 결과적으로 도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저하되고 있는 것이 농촌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스마트팜 추진단 구성(25명)과 스마트팜 전문농업인을 조직(8명)해 현장 의견 수렴과 후계청년농 멘토링 사업 등을 추진하고 적극적인 대외 홍보를 통해 농업 이미지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해외 농업 근로 유학생 유치 및 충북 스마트팜 세계화를 위한 해외 진출을 꾀하고 있다.

"농업 생산부터 가공·유통·소비 전 분야에 ICT를 접목함으로써 정체된 농업에서 기회의 농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도록 첨단 스마트 농업 육성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마트농업이 확산되면 인력·에너지 등 투입 요소의 최적 사용을 통해 충북농업의 경쟁력이 한층 높아지고 충북도의 신성장 전략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 1억 농부 등 고소득이 가능한 농업으로의 전환과 열악한 노동강도와 일손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바로 스마트농업이기에 충북농업의 성공적인 스마트농업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