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 ⓒ연합뉴스

[중부매일 황진현 기자]충남에서 처음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함에 따라 양돈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5일 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께 당진시 송산면 돼지농장에서 폐사한 돼지에 대한 도 동물위생시험소 ASF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총 463두의 돼지를 사육 중인 송산 돼지농가에서는 지난 17∼18일 2마리가 폐사하고 23∼24일 4마리가 폐사함에 따라 농장주가 수의사의 권고를 받아 폐사축에 대한 검사를 도에 의뢰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폐사축 1마리와 같은 우리에서 키우던 돼지 등 14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해 모두 양성 판정을 내렸다.

도 동물방역팀 조사 결과 폐사축은 지난 4일 경남 합천 종돈장에서 입식한 24주령 돼지인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첫 ASF 발생에 따라 도는 시군 및 한돈협회, 양돈농가 등에 발생 상황을 긴급 전파하고 초동방역팀을 투입해 해당 농장 출입을 통제하며 가축에 대한 이동 제한을 실시 중이다.

발생 농장 10㎞ 이내 28개 양돈농장에 대해서는 소독을 실시했다.

도와 당진시는 이날 발생 농가와 농장주 소유 2개 농장 돼지에 대한 살처분을 마칠 계획이다.

또 발생 농장과 역학 관계가 있는 사료공장, 도축장 등 112개소에 대해서도 소독 및 이동 제한 등 긴급 방역 조치를 진행 중이며 역학 농장에 대해서는 19일 동안 이동 제한 및 정밀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도는 이밖에 발생 농장 3㎞ 이내에 통제 초소 4개소를 설치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정삼 도 농축산국장은 “발생 농장에 대한 긴급 방역 조치 등 추가 확산 방지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각 양돈농장에서는 위험 지역 돼지 반출입 금지, 농장 출입 통제 및 소독, 축사 출입 시 전용 장화 갈이신기 등 농장 보호를 위한 차단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ASF는 돼지와 멧돼지에게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질병으로 감염 돼지의 침과 호흡기 분비물, 대소변 등을 통해 전파된다.

국내 돼지농장 ASF는 지난 2019년 9월 경기도 파주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이번까지 총 55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