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회 예결위 심사서 예산 전액삭감 유지
김종필 “의견수렴 절차·장소협의 미비” 지적
道 “제3의 장소·공청회 등 도민협의 유족 반대”

▲ 김종필 충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이 25일 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도 제3회 충북도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회의’에서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 예산편성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충북도의회
▲ 김종필 충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이 25일 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도 제3회 충북도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회의’에서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 예산편성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충북도의회

[중부매일 신동빈 기자] 충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궁평2지하차도 참사 추모 조형물 설치사업(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 예산을 전액 삭감하면서 민선8기 내에 관련 사업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도의회 예결위는 25일 위원회 회의실에서 ‘2025년도 제3회 충북도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 예산 5천만원을 삭감한 예산안을 수정의결했다. 이번 추경예산안 심사에서 삭감된 예산은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이 유일하다. 나머지 상임위(정책복지·행정문화·산업경제) 추경안은 원안의결됐다.

예결위원들은 심사 과정에서 도의 일방적인 예산편성 행태를 지적했다.

김종필(국민의힘·충주4) 예결위원장은 “집행부는 2차 추경에서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 예산이 삭감된 후 설치장소에 대한 토론회나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같은) 예산을 또 올렸다”며 “그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졌다.

신성영 재난안전실장은 “오송참사 유족분들이 추모비 설치 장소가 (충북도청 외) 다른 장소로 가는 것을 완강히 반대했고, 공청회 등 의견수렴 절차도 원하지 않았다”며 “도는 이미 6월에 (유족들과) 충북도청 내 추모비 설치를 합의했기 때문에 그 합의에 따라 추경에 올리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2차 추경에서 장소를 문제로 예산을 삭감했다”며 “도의회가 대안을 제시해도 이 논의가 제자리걸음을 거듭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동우(국민의힘·청주1) 도의원은 “행정안전부에서 오송참사 피해자 지원단을 출범시켜 추모공간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충북도의 조형물 설치사업 추진은 유족·중앙정부와 긴밀하게 협조해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실장은 “유족들과 만나 합리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이날 가결된 추경 예산안은 26일 제430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 본회의에서 예산삭감이 유지되면 민선8기 내 오송참사 추모비 건립은 무산된다. 재난안전실은 3차 추경안에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사업 예산을 올린 탓에 내년도 본예산안에 해당 사업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내년 1차 추경에 예산을 반영하는 방법이 있지만, 지방선거를 앞둔 탓에 가능성은 낮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